인터넷에서 노출된 개인정보를 삭제하고, 구글과 SNS에서 내 데이터를 안전하게 관리하는 방법을 알아보세요.
1. 왜 개인정보 삭제가 중요한가?
인터넷에 남겨진 개인정보는 해킹, 피싱, 사기 등의 범죄에 악용될 수 있습니다.
- 내 이름, 주소, 전화번호 등이 검색 결과에 노출될 위험
- 광고업체나 데이터 브로커가 내 정보를 수집하여 판매
- 해커가 유출된 정보를 활용해 피싱 공격 시도
개인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서는 인터넷에 노출된 정보를 주기적으로 삭제하는 것이 필요합니다.
2. 구글에서 개인정보 삭제하는 방법
2.1. 구글 검색 결과에서 내 정보 삭제
구글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개인정보가 포함된 검색 결과를 삭제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.
- 구글 검색에서 본인의 전화번호, 이메일, 주소가 노출되는지 확인
- 구글 개인정보 삭제 요청 페이지 접속: 구글 정보 삭제 요청
- 삭제 요청 사유를 입력하고 제출
2.2. 구글 계정 데이터 삭제
구글 서비스(검색 기록, 유튜브, 지도, Gmail)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삭제하는 방법입니다.
- 구글 계정 페이지 접속: 구글 개인정보 관리
- "내 활동"에서 검색 기록, 위치 기록, YouTube 기록 삭제
- "데이터 다운로드 및 삭제"에서 특정 서비스 데이터 삭제 가능
3. SNS에서 개인정보 삭제하는 방법
3.1. 페이스북 개인정보 삭제
페이스북에 게시된 사진, 게시물, 댓글을 삭제하거나 계정을 비활성화할 수 있습니다.
- 설정 → "개인정보 보호"에서 공개 범위 조정
- 내 게시물 관리 기능을 이용해 특정 게시물 일괄 삭제
- 계정 삭제 요청: 페이스북 계정 삭제
3.2. 인스타그램 개인정보 삭제
인스타그램에 업로드한 게시물과 개인 데이터를 삭제하는 방법입니다.
- 설정 → "보안" → "데이터 및 기록"에서 계정 활동 내역 삭제
- 계정 삭제 요청: 인스타그램 계정 삭제
3.3. 트위터 개인정보 삭제
트위터에 남긴 게시물, DM(다이렉트 메시지) 등을 삭제하는 방법입니다.
- 설정 → "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"에서 계정 검색 노출 제한
- 트윗 삭제는 수동으로 진행하거나 TweetDelete 같은 자동 삭제 서비스 이용
- 계정 삭제 요청: 트위터 계정 삭제
4. 데이터 브로커 사이트에서 개인정보 삭제
데이터 브로커는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여 마케팅 업체 등에 판매하는 기관입니다.
4.1. 대표적인 데이터 브로커 사이트
- Spokeo (개인 연락처 정보 수집)
- Whitepages (이름, 주소, 전화번호 정보 제공)
- MyLife (공개 프로필 정보 수집)
4.2. 개인정보 삭제 요청 방법
대부분의 데이터 브로커 사이트는 개인정보 삭제 요청 기능을 제공합니다.
- 각 사이트의 "Opt-Out" 페이지에서 삭제 요청 제출
- 일부 사이트는 신분증 인증이 필요할 수도 있음
5. 추가적인 개인정보 보호 방법
- 비밀번호를 정기적으로 변경하고 2단계 인증(2FA) 활성화
- 광고 추적 차단 기능 활성화 (구글, 애플 설정에서 가능)
- VPN을 사용하여 인터넷 사용 기록 보호
-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계정 삭제